일본선 국민 5000만명 이상 사용 타이완·태국·인도네시아·인도 등 10개국서도 1000만 이상 가입…철옹성 같은 美·中 시장선 ‘고전’
‘완벽한 메신저를 개발할 때까지 기다릴 것인가 아니면 하루빨리 메신저를 출시할 것인가.’
라인은 이제 일본을 넘어 타이완,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스페인 등 10개국에서 각각 1000만 이상 가입자를 확보하며 공격적으로 모바일 영토를 넓혀 가고 있다. 지난 2분기에는 1832억원의 해외 매출을 올리며 네이버 전체 매출 6978억원 가운데 매출 비중 20%를 훌쩍 넘겼다. 그러나 급변하는 글로벌시장 환경에서 한시도 고삐를 놓을 수 없다는 게 라인의 분위기다. 와츠앱과 위챗이 각각 점령 중인 미국과 중국 시장은 아직 요원한 데다, 너도나도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 상황은 한층 치열해졌다.
라인 관계자는 1일 “이제 다른 서비스보다 더 좋은 것이 아니면 승부를 걸 수 없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일본 시장에서 라인이 출시됐을 때와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단 얘기다. 게다가 모바일 메신저는 기능이나 자금력보다 시장 선점 여부가 더 중요하다. 라인이 철옹성 같은 미국과 중국 시장을 뚫을 수 있을지 물음표가 붙는 이유다.
정확한 시장 점유율이 공개된 적은 없지만 와츠앱의 경우 유럽과 남미,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90% 이상을, 위챗은 중국 내수시장을 독식하며 해외시장을 틈틈이 노리고 있다. 이에 맞서 라인은 북미시장에서는 상반기 TV 광고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으나 크게 반응을 얻지는 못하고 있다. 또 중국에서는 최근 한 달째 알 수 없는 이유로 서비스가 먹통이 되면서 속앓이만 하는 등 고군분투 중이다.
라인의 강점으로 꼽히는 스티커도 아시아 권역을 제외한 북미 시장 등에서는 문화 차이로 인한 고전이 예상된다. 실제 브라질과 이탈리아에서는 대표 스티커 ‘문’ 캐릭터의 모양이 다르다. 똑같은 캐릭터를 보고도 사용자가 받아들이는 감정이 다르기 때문이다. 현지화에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라인은 콘텐츠 외에도 올해 하반기 게임, 쇼핑, 웹툰 등의 플랫폼의 서비스 국가를 확대하고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진행하는 등 해외시장 개척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8-02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