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발적 성장 기존 카페 제쳐
네이버의 폐쇄형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밴드’(BAND)가 모바일에서 기존의 대표 커뮤니티 서비스인 ‘카페’마저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밴드를 통해 동창들을 찾는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힘이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총체류시간은 이용자들이 해당 서비스에 머무르는 시간의 총합을 나타낸 수치다. 주로 해당 서비스에 대한 브랜드 충성도나 사용률을 비교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밴드는 카페 총체류시간이 견조한 흐름세를 이어 가는 사이 가입자들을 모으며 폭발적인 성장을 이뤄 냈다. 현재 밴드 가입자는 약 2000만명이다.
밴드는 지인들과 그룹을 만들어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서비스로 지난해 8월 출시됐다. 누군가 밴드(그룹 대화방)를 만들고 회원을 초대하면 참가자들이 문서이나 일정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출시 당시에는 대학교 강의 조모임에 주로 쓰일 것으로 예상됐으나 지금은 학교, 회사, 가족 모임 등에 폭넓게 쓰이고 있다.
특히 밴드의 최근 급성장은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한 동창회에 힘이 컸다. 네이버가 지난 8월 ‘동창밴드 찾기’ 기능을 추가한 이후 밴드 체류 시간은 수직상승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누가 따로 밴드를 만들어 놓지 않더라도 학교명과 졸업 연도만 입력하면 자동 생성돼 있는 밴드에 가입해 동창들을 만날 수 있다. 지난달 한국광고주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밴드는 40대 남녀의 이용 비중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밴드가 ‘불륜의 온상’이 된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12-14 1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