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제조사의 국내 첫 4세대(4G) 롱텀에볼루션(LTE) 스마트폰이 SK텔레콤을 통해 단독 출시된다.
17일 통신·전자업계에 따르면 SKT가 국내 첫 LTE폰을 출시하며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LTE폰으로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코드네임 셀록스를 9월 선보인다. 당초 10월에 내놓기로 했던 LG전자와 팬택도 LTE폰의 출시일을 다음 달로 앞당겼다.
SKT는 지난 3월부터 국내 제조3사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LTE폰을 기획하면서 T맵, T스토어 등 핵심 콘텐츠 서비스의 최적화 작업을 완료했다.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HTC 등이 SKT와 망 연동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SKT는 하반기에 태블릿PC 등 6~7종의 LTE 제품군을 선보일 계획이다.
SKT 우선 출시는 3G 이동통신망에도 쓸 수 있는 듀얼모드 듀얼밴드 LTE폰의 개발이 더 수월하다는 점이 작용했다. LTE는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방식이 발전된 형태로, 기존 3G망 WCDMA와 LTE 간의 호환이 용이하다. 미국 등에 출시된 LTE폰이 모두 SKT와 같은 3G(WCDMA)+4G(LTE)의 듀얼모드로 국내 LTE폰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LG유플러스의 2G망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을 지원하는 LTE폰을 제조하려면 별도의 모듈을 탑재해야 해 개발 기간이 더 필요할 수밖에 없다. 결국 LTE 조기 상용화를 통해 CDMA 주파수의 한계를 극복하려던 LG유플러스로서는 LTE 단말기 확보에서도 ‘주파수의 저주’를 벗어나지 못하게 된 셈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17일 통신·전자업계에 따르면 SKT가 국내 첫 LTE폰을 출시하며 시장 선점에 유리한 고지를 확보하게 됐다. 삼성전자는 LTE폰으로 출시를 준비하고 있는 코드네임 셀록스를 9월 선보인다. 당초 10월에 내놓기로 했던 LG전자와 팬택도 LTE폰의 출시일을 다음 달로 앞당겼다.
SKT는 지난 3월부터 국내 제조3사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LTE폰을 기획하면서 T맵, T스토어 등 핵심 콘텐츠 서비스의 최적화 작업을 완료했다. 현재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HTC 등이 SKT와 망 연동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SKT는 하반기에 태블릿PC 등 6~7종의 LTE 제품군을 선보일 계획이다.
SKT 우선 출시는 3G 이동통신망에도 쓸 수 있는 듀얼모드 듀얼밴드 LTE폰의 개발이 더 수월하다는 점이 작용했다. LTE는 광대역코드분할다중접속(WCDMA) 방식이 발전된 형태로, 기존 3G망 WCDMA와 LTE 간의 호환이 용이하다. 미국 등에 출시된 LTE폰이 모두 SKT와 같은 3G(WCDMA)+4G(LTE)의 듀얼모드로 국내 LTE폰의 개발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조사 입장에서는 LG유플러스의 2G망인 코드분할다중접속(CDMA)을 지원하는 LTE폰을 제조하려면 별도의 모듈을 탑재해야 해 개발 기간이 더 필요할 수밖에 없다. 결국 LTE 조기 상용화를 통해 CDMA 주파수의 한계를 극복하려던 LG유플러스로서는 LTE 단말기 확보에서도 ‘주파수의 저주’를 벗어나지 못하게 된 셈이다.
안동환기자 ipsofacto@seoul.co.kr
2011-08-1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