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 ‘헤비 치킨러’, 월 3회·8만원 치킨에 불태웠다

상위 10% ‘헤비 치킨러’, 월 3회·8만원 치킨에 불태웠다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3-09-07 17:57
수정 2023-09-07 18: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양념치킨과 맥주. 사진 BBQ 제공
양념치킨과 맥주. 사진 BBQ 제공
‘국민 간식’ 치킨을 가장 사랑하는 상위 10%, 일명 ‘헤비 치킨러’들의 매출 비중이 전체 배달 치킨 4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침체에도 치킨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도는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7일 KB국민카드가 2019년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자사 신용 및 체크카드 회원의 치킨 소비 데이터를 매장과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으로 구분해 분석해보니 올해 상반기 치킨업종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5.2%, 2019년 상반기보다 31% 늘었다.

외출이 어려워진 코로나19 유행 이후 치킨이 완전한 대세 배달 음식으로 지위를 굳힌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배달업에서 치킨 매출의 성장세가 두드러졌다.

치킨 업종 매출액에서 배달앱이 차지하는 비중은 올해 상반기 46%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보다 33% 포인트 급증했다. 같은 기간 배달앱 매출은 379% 폭등해, 배달앱이 치킨 시장의 확장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최근 1년 치킨업종의 매출액 상위 10% 회원은 연간 34회, 월평균 3회를 치킨을 소비했으며 이 가운데 2회는 배달앱을 이용했다. 최근 1년간 데이터를 보면, 총이용 금액 94만원(월평균 약 8만원)을 치킨에 소비했다.

반면 전체 회원의 치킨 연간 평균 소비량은 9회로 월평균 2만원을 썼다. 상위 10%가 평균보다 4배 가까이 치킨에 투자하고 있는 셈이다.



치킨을 가장 많이 시켜 먹는 연령층은 20대로 전체 매출의 26.5%를 차지했다. 뒤이어 ▲40대(25.7%) ▲30대(24.7%) ▲50대(16.2%) ▲60대(6.9%) 순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