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 만에 최저… “올해 더 암울”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발표한 1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과 수입은 전년 대비 각각 16.6%, 2.6% 감소한 462억 7000만 달러, 589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무역 수지는 126억 9000만 달러의 역대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부산항 신선대와 감만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2023.2.1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2년 12월 국제수지 잠정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경상수지 흑자는 298억 3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한은의 당초 전망치(250억 달러)를 웃돌았지만 2021년(852억 3000만 달러) 대비 554억 달러 줄어들었다. 1년 사이 3분의1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2011년(166억 3800만 달러) 이후 1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수출이 6904억 6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409억 9000만 달러(6.3%) 증가해 사상 최대 폭으로 늘었지만 원자재 수입이 30.1% 급증한 영향으로 수입이 6754억 달러로 전년 대비 1016억 6000만 달러(17.7%) 증가해 역시 사상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여기에 고질적인 서비스수지 적자 현상도 이어져 지난해 서비스수지는 55억 5000만 달러 적자로 전년(52억 9000만 달러)보다 적자 폭을 키웠다. 김영환 한은 경제통계국 부국장은 “높은 수준의 에너지 가격, 주요국 성장세 둔화 및 정보기술(IT) 경기 하강 등 어려운 여건을 고려하면 예상보다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경제의 버팀목인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 올해 전망도 밝지 않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수출액은 462억 7000만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16.6% 급감했다. 한국은행은 올해 상반기 경상수지가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줄어든 20억 달러 흑자에 머물 것으로 내다봤다. 김 부국장은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 당분간 매월 흑자 적자 여부를 예단하기 힘든 상황이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3-02-09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