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비재 0.3% 줄어 통계작성후 처음
코로나 영향 제조업 생산감소·수출 부진
수입점유비는 27.3%… 전년比 1.0%P↑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연간 제조업 국내공급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103.6(2015=100)으로 전년보다 0.9% 감소했다. 앞서 2018년(-0.7%)과 2019년(-0.8%)에 이어 3년 연속 마이너스다. 제조업 국내공급지수는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외국에서 수입해 국내에 공급한 제조업 제품의 가액을 나타낸 것으로, 내수 시장의 동향을 보여주는 지표다.
구체적으로 수입은 2.6% 증가했지만 국내가 2.3% 감소하면서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최종재 국내 공급은 전년보다 2.8% 증가했는데, 이 중 개인 또는 가계에서 구입하고 사용하는 제품을 의미하는 소비재 공급은 0.3% 줄었다. 2010년 관련 통계가 작성된 이후 소비재가 감소한 것은 처음이다. 반면 산업 생산에 활용되는 자본재는 7.5% 늘었다. 업종별로 기계장비는 7.0% 증가했지만 1차금속(-8.0%)과 금속가공(-4.9%) 등은 모두 감소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화장품, 정장 등 의복이 많이 감소했다”면서 “수출이 부진하고 전반적으로 제조업 생산이 감소하면서 중간재도 감소했고, 자본재의 경우 반도체 업종의 시설투자가 이뤄지면서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제조업 국내공급 가운데 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하는 수입점유비는 27.3%로 전년보다 1.0% 포인트 올랐다. 특히 최종재의 수입점유비는 29.6%로 전년보다 1.8% 포인트 상승했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1-02-0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