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실태 평가서 11곳 미흡 등급
전체 71곳 중 우수 등급은 2곳뿐


라임자산운용 홈페이지 캡처
금융감독원은 올해 평가에서 미흡 등급을 받은 은행 5곳과 증권사 4곳, 생명보험사 2곳 등 금융사 11곳으로부터 개선안을 제출받을 계획이라고 30일 밝혔다. 미흡 등급은 우수·양호·보통·미흡·취약 등 종합등급 5단계 중 두 번째로 낮다. 지난해 평가에서 미흡 등급을 받은 곳은 해외금리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로 물의를 빚은 우리·하나은행 2곳이었다. 올해는 라임과 옵티머스 등 사모펀드 환매 중단으로 소비자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은 금융사가 늘었다.
미흡 등급을 받은 곳은 기업·부산·신한·우리·하나은행 등 은행 5곳, 신한금융투자·KB·대신·NH투자증권 등 증권사 4곳이다. 이들은 라임 펀드·옵티머스 펀드·독일 헤리티지 펀드·디스커버리 펀드·이탈리아 헬스케어 펀드 등 대규모 환매 중단이 발생한 사모펀드를 다수 판매했다. 특히 우리·하나은행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미흡 평가를 받았다. 금감원은 “각종 사모펀드 관련 소비자 피해를 유발해 사회적 물의를 초래하거나 중징계 조치를 받은 금융사에 대해서는 종합등급을 1단계 하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사모펀드 사태와는 별개로 ‘요양병원 입원비는 직접적인 암 치료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보험금을 지급하지 않은 삼성생명, 전 분야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KDB생명 등 생명보험사 2곳도 미흡 등급을 받았다. 금융사 71곳 가운데 우수 등급을 받은 금융사는 우리·현대카드 등 2곳이다. 양호 등급은 24곳, 보통 등급은 34곳이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