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유통공룡만 살찌우는 ‘맛집 밀키트’

[단독] 유통공룡만 살찌우는 ‘맛집 밀키트’

심현희 기자
입력 2020-08-16 20:50
수정 2020-08-17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마트, 레시피 제공 맛집에 매출 1% 배분
유통채널 적어 영세 외식업체는 ‘을’ 신분


마켓컬리에 자체 제품 납품 자영업자도
값 후려쳐도 수수료는 40% 그대로 지급
포스트 코로나 시대 생존방법 딱히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유통업체 제안에 따라
이미지 확대
유명 맛집의 음식을 소비자의 집에서 손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가정간편식(HMR)의 일종인 ‘밀키트’ 시장이 코로나 시대 비대면 유행의 바람을 타고 급성장하고 있지만 정작 그 레시피를 제공한 맛집 자영업자들에게는 ‘빛 좋은 개살구’로 나타났다. 수익의 대부분을 파트너인 이마트, 마켓컬리 등과 같은 유통공룡들이 가져가기 때문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이마트와 밀키트 맛집들 간 수익 배분은 전체 매출 기준 약 ‘99대1’로 나타났다. 이마트가 수익의 대부분을 챙기고, 이름과 레시피를 제공하는 맛집들은 매출의 1~2% 정도만을 가져가는 구조다. 이마트는 자체 PB브랜드인 피코크에서 맛집들의 인기 메뉴를 밀키트 제품으로 내놓는 ‘고수의 맛집’ 시리즈를 통해 짬뽕, 피자 등 8개 제품을 판매 중이다. 이마트가 이들 업체로부터 핵심 레시피를 제공받아 자체 공장에서 제품을 생산·유통한다. 이마트가 파트너인 원조 맛집 사장님들에게 주는 로열티 값은 전체 매출의 1% 수준에 불과한 것이다.

이마트에 레시피를 제공한 A업체 관계자는 “대형마트에 우리 제품이 들어간다고 하면 큰돈을 벌지 않느냐는 말을 주변에서 많이 하지만 연간 약 500만~1000만원 정도 수준”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밀키트 열풍이 분다지만 맛집은 많고 유통 채널은 유한한 만큼 유통업체가 갑이다. 영세한 외식업체가 ‘밀키트 신화’를 써 큰 수익을 내기란 어렵다”고 말했다.

이커머스 업체를 통해 자체 밀키트 제품을 판매하는 맛집 자영업자들의 사정도 비슷하다. 이마트가 맛집들의 레시피 등 ‘원천기술’만을 가져다가 직접 제품을 제작·판매한다면 이커머스에 납품하는 맛집들은 직접 생산까지 하는데 판매가의 40%는 이커머스 업체에 수수료로 내야 한다. 과거 백화점이 잘나가던 시절 받던 수수료만큼 비싸다. 마켓컬리에서 밀키트를 파는 B업체 관계자는 “저렴해야 물건이 잘 팔린다며 판매가격을 후려쳐도 이커머스 업체는 자신들이 가져가는 수수료(40%)는 손해 보지 않아 밀키트 맛집은 남는 게 없다”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음식점들이 울며 겨자 먹기 심정으로 밀키트 시장에 뛰어드는 이유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생존 방법이 딱히 없기 때문이다. C업체 관계자는 “모든 외식업체가 휘청거리는 상황에서 온라인 판매가 가능한 밀키트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 뭐라도 해야 한다는 심정으로 유통 업체의 말에 따르는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 시대가 낳은 또 하나의 갑을 관계인 셈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2012년 9500억원 수준이던 국내 HMR 시장은 연평균 20%가량씩 성장해 현재는 4조원 규모로 추산되며 내년엔 5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20-08-1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1 /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