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물에 콩 나듯 잡히는 5G…연결돼도 빠른 속도 체감 어려워

가물에 콩 나듯 잡히는 5G…연결돼도 빠른 속도 체감 어려워

강경민 기자
입력 2019-04-07 10:11
수정 2019-04-07 10: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갤럭시S10 5G 이틀간 써보니…인터넷서도 “화면 커진 LTE폰” 불만이통사측 “기지국 많이 깔아야…안정화까지 시간 걸릴 듯”.

이미지 확대
SKT,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4일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조기 개통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SKT 건물 외벽에 5G 네트워크 광고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SKT,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4일 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조기 개통한 가운데 서울 종로구 SKT 건물 외벽에 5G 네트워크 광고가 걸려 있다.
연합뉴스
갤럭시S10 5G가 일반 출시된 5일 개통해 이틀간 사용한 결과 현재로서는 5G 스마트폰의 이점을 거의 느낄 수 없는 수준이었다. 이동통신사들이 5G 네트워크 구축에 속도를 냈다고 하지만 안정화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일단은 5G 기지국 자체가 부족한 탓에 거주지는 물론 서울시청 근처, 홍대입구역, 강남역 등 도심에서도 5G를 이용하는 것이 하늘의 별 따기였다.

5일 SK텔레콤으로 개통한 갤럭시S10 5G를 들고 서울시청 광장을 한 바퀴 둘러봤는데, 걸음을 옮길 때마다 5G와 LTE가 전환되기 바빴고 프라자 호텔 맞은편에서는 아예 LTE만 잡혔다.

무교동 한 카페에서는 실내임에도 5G가 잡혔지만, 스마트폰 속도 측정 앱 ‘벤치비’로 측정했을 때 다운로드 속도가 146Mbps, 업로드 속도가 38.6Mbps, 지연 속도가 31.3ms였다. 현재 이용할 수 있는 5G 서비스 최고 속도가 2Gbps이고, LTE의 최고 속도가 1Gbps인 점을 감안했을 때 LTE 대비 빠른 속도를 강조할 수 없는 수준이다.

KT로 개통한 갤럭시S10 5G를 강남역 인근에서 이용했을 때도 건물 내부는 물론 외부에서도 좀처럼 5G 신호가 잡히지 않아 속도를 측정해보기 어려울 정도였다. 삼성전자 서초사옥 앞에서도 단말이 LTE 신호만 잡았다.

6일에는 SKT 단말을 들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도림역 근처에 나갔는데, 5G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였다. 지하로 내려갔을 때 LTE로 전환되는 것은 물론이고, 역 인근 실외에서도 안정적으로 5G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 드물었다. 홍대입구역 2번 출구 근처 삼성디지털프라자 앞에서도 특정 위치에서만 5G가 잡혔다.

이때 벤치비로 측정한 다운로드 속도는 495Mbps, 업로드 속도 47.6Mbps, 지연 속도 39.4ms였다. 300MB 분량의 같은 게임을 다운로드받았을 때 5∼6초가 걸려, 기자가 가지고 있는 LTE폰보다 2배 정도 빨랐지만 그뿐이었다.

삼성전자가 협업한 스트리밍 게이밍 앱 ‘해치’를 이용해 몇 가지 게임을 해봤는데, LTE폰에서도 거의 끊김 없이 즐길 수 있어 큰 차이를 느끼기 어려웠다. 영상통화는 5G망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통화 품질도 같았다. 5G 연결에 전전긍긍해 하는 편보다 LTE로 연결해 콘텐츠를 이용하는 게 훨씬 마음이 편할 정도였다.

주거지역 근처는 기대하지도 않는 것이 나을 듯했다. 서울 서대문구 아파트 내에서는 5G 신호가 아예 잡히지 않았고, 집 근처에서 5G가 되는 곳을 찾아봤지만 다운로드 속도가 114Mbps에 지나지 않았다. 영화 한 편(2GB)을 다운받았을 때 2분이 넘게 걸렸다. 통신사 관계자는 “5G 주파수 특성이 직진성이 강해 근처에 빌딩이 있을 때 음영지역이 많이 생긴다”며 “초기여서 기지국을 아직 한참 많이 깔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속도 불만을 느낀 것은 기자만이 아닌 듯하다. 삼성전자 스마트폰 이용자가 모인 네이버 카페 등에는 5일부터 “5G를 써보려고 넘어왔는데 서울 시내에서도 이용할 수가 없다”, “정신 건강을 위해서 LTE로만 이용하고 있다”, “화병이 날 지경이다”는 불만이 대다수다.

이를 제외한 스마트폰 자체는 6.7인치대의 대화면을 탑재해 콘텐츠를 큼직하게 즐길 수 있으면서 사용하기에는 무겁지 않다는 느낌을 받았다. 다만 갤럭시S10 시리즈에 들어간 전면부 카메라 ‘홀’이 3D 심도 센서 탑재로 더욱 넓어져 다소 거슬릴 수 있다.

후면 카메라에도 3D 심도 카메라가 탑재돼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배경을 흐리게 하는 라이브 포커스 동영상이 가능해진 점은 만족스러웠다. 배터리는 4천500mAh로 늘어났지만, 단기간 사용에서 배터리 용량 차이는 크게 느낄 수 없었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