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5 부진, TV가 살렸다… LG전자 영업익 5864억

G5 부진, TV가 살렸다… LG전자 영업익 5864억

홍희경 기자
홍희경 기자
입력 2016-07-08 22:36
수정 2016-07-08 23: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분기 대비 15.7%↑… 2년 만에 ‘최고’

가전·TV 이익률 견인… 스마트폰 부진

LG전자가 스마트폰 G5의 부진 속에도 가전과 TV가 선전을 하면서 올 2분기 영업이익 5864억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발표했다.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2440억원)보다 139.5%가 증가했고, 분기 기준으로 2014년 2분기(6062억원) 이후 최고 실적이다. 직전 분기(5051억원)에 비해서는 15.7%가 늘었다. 증권사들의 전망치를 살짝 밑돈 실적으로, FN가이드가 전날까지 집계한 증권사들의 LG전자 2분기 영업이익 평균 전망치는 5992억원이었다.

LG전자의 2분기 잠정 매출액은 14조 17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2분기(13조 9260억원)에 비해 0.5% 증가했고, 올해 1분기(13조 3600억원)보다 4.8% 늘었다.

TV를 담당하는 HE사업부와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부가 영업이익을 위로 끌어올린 반면,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MC사업본부가 실적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추정된다. 사업부별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증권가에선 H&A사업부 영업이익이 4000억원대 중후반에 이를 것이란 추정이 나왔다. 가전과 TV 모두 이익률이 높은 프리미엄 제품 판매량이 늘었다.

스마트폰 G5의 부진은 다른 사업부의 선전과 명확하게 대비를 이뤘다. 증권사들은 MC사업부의 2분기 영업손실을 1300억원대까지 보고 있다. HMC투자증권은 “스마트폰 출하량은 1분기보다 11.1% 증가한 1500만대를 기록하고, G5는 220만대 판매에 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모듈폰이라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한 혁신 제품으로 주목받은 G5의 판매가 부진함에 따라 LG전자는 G5를 개량하는 쪽으로 스마트폰 개발 방향을 잡아야 할지, 아예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

MC사업부가 적자 상태에서 빨리 벗어나지 않는다면 하반기 실적은 상반기보다 나빠질 것이란 전망이 많다. 노근창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에어컨과 냉장고 수요가 감소하는 계열이고, LCD 패널 가격이 상승해 TV 수익성도 상반기보다 나빠질 것”이라고 봤다. LG전자의 신산업인 전장 사업이 성과를 내 준다면 하반기 실적에 호재가 될 전망이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6-07-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