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구고속도로’로 이름 변경
‘사고 다발 고속도로’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던 88올림픽고속도로의 모든 구간이 왕복 4차로로 개통되고 도로명도 ‘광주~대구고속도로’로 바뀐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박근혜 대통령이 22일 경남 함양 산삼골휴게소에서 열린 영남과 호남을 잇는 광주~대구고속도로(옛 88올림픽고속도로) 확장 개통식에 참석해 박수를 치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 고속도로 확장 개통으로 광주~대구 간 주행거리는 182㎞에서 172㎞로 10㎞ 단축되고 통행속도도 시속 80㎞에서 100㎞로 빨라진다. 이에 따라 통행시간은 2시간 10분에서 1시간 40분으로 30분 단축된다. 교통사고도 줄어들고 연간 760억원의 물류비 절감 효과도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동서화합과 영호남의 지역개발 촉진도 기대된다. 지리산국립공원 등 관광지 접근성이 개선되고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10개 시·군의 40여개 축제 관광객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개통식에 참석한 박근혜 대통령은 “호남과 영남을 오가는 안전하고 빠른 길이 열렸다”며 “광주~대구고속도로는 단순한 도로를 넘어 영호남 주민이 교류하고 소통하면서 마음과 마음을 이어 가는 가교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고속도로는 특히 안전성에 주안점을 두고 건설됐다. 예전 88올림픽고속도로는 유일하게 남아 있던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서 굴곡이 많고 중앙분리대도 없었다. 고속도로에 정지 신호등이 있을 정도로 열악해 교통사고 발생 건수가 고속도로 평균의 1.6배나 높았다. 새로 탄생한 광주~대구고속도로는 선형이 불량한 2차로가 선형이 곧은 4차로로 확장되고 전 구간에 콘크리트 중앙분리대가 설치됐다. 고속도로에 있던 교차로도 평면에서 입체로 전환해 신호등을 없앴다.
2002년부터 실시설계를 추진, 2008년 11월부터 2조 1349억원을 들여 확장 공사에 착수했다.
●車번호판 인식 ‘통행료 결제’ 시스템 도입도
험준한 산악지형을 통과하는 점을 감안, 안개시선유도등, 시정계 등을 설치하고 터널에는 사고 발생 시 차로를 통제할 수 있는 차로통제시스템(LCS)을 구축했다. 비탈면 붕괴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게 6개 지점에 비탈면 경보시스템도 설치했다. 기존 휴게소(남원, 지리산, 거창) 외에 2곳(강천산, 함양산삼골)을 추가 설치했다. 5곳의 졸음쉼터도 마련했다. 휴게소에는 지역특산물을 주제로 한 홍보관도 들어섰다.
2020년까지 통행권을 뽑지 않고 주행 중에 차량 번호판을 인식해 통행료를 결제하는 ‘스마트톨링’ 시스템과 돌발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리는 ‘차세대 지능형교통체계’(C-ITS)도 도입된다. 선형개량으로 남은 폐도(41곳) 71㎞는 태양광발전소를 설치하거나 생태축 복원로로 활용된다.
세종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5-12-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