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협 전무에 전 靑행정관 한창수씨
금융투자협회가 24일 대규모로 조직을 개편했습니다. 전체 조직을 증권사와 자산운용사 등 회원사를 담당하는 회원서비스 부문과 대외활동을 전담하는 대외서비스 부문으로 나눴습니다. 그리고 부문별 전무를 도입했습니다.
한창수 전 청와대 선임행정관
금융투자협회가 한 전무를 임명하면서 내세운 이유는 “금융투자산업과 자본시장 관련 입법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입니다. 정치권과 정부에 ‘로비할’ 사람으로 한 전무를 데려왔다는 말이지요.
황영기 금투협 회장은 지난 1월 회장 경선 당시 “정부는 물론이고 청와대에도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이 많은데 이런 인맥을 십분 활용해 대외 협상력을 발휘해 보겠다”고 했습니다. 이 말에 ‘강한 협회장’을 원한 업계 최고경영자(CEO)들의 마음이 움직여 1차 투표에서 과반수 이상의 표로 당선됐다고들 분석했습니다. 황 회장의 대외 협상력을 실제 수행할 사람이 한 전무인 셈이지요.
하지만 씁쓸한 뒷맛은 여전합니다. ‘만사경통’(모든 일은 최경환으로 통한다)이니까요. 김인호 신임 무역협회장에 대해 일각에서는 최 부총리와 청와대에서 같이 근무한 인연을 꼽고 있습니다. 한 전무는 최 부총리의 지근거리에 있었습니다. 일각에서는 “최 부총리가 이렇게 자기 사람을 챙긴다는 것을 보여 준 것”이라고 쑤군대기도 합니다.
그래도 이왕 왔으니 자본시장에서 그동안 풀지 못했던 숙원들을 풀어내는 데 나름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젠 공식적인 ‘주군’이 ‘만사경통’에서 ‘검투사’(황영기 회장의 별명)로 바뀌었으니 말입니다. 너무 순진한 기대일까요.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3-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