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약세 현상이 이어지면서 일본에 진출한 국내 기업들이 속속 철수하거나 사업 규모를 줄이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는 일본 쇼핑몰 라라포트 요코하마 내 남성복 브랜드 ‘스파오’ 매장을 지난 1일 철수하면서 일본 내 모든 매장 사업을 접었다. 이랜드는 2013년부터 일본에서 스파오 이외에도 여성복 브랜드 ‘미쏘’ 매장 등 5개 점포를 운영했지만 최근 엔화 약세에 매장을 줄여 왔다. 이랜드 관계자는 “엔저를 타고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일본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역부족임을 느꼈다”면서 “일단 일본은 숨 고르기를 하면서 대만, 홍콩 등 중화권에 힘을 실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화장품 업계도 일본에서 속속 발을 빼는 분위기다. 2006년 일본에 진출한 아모레퍼시픽은 한때 8곳에 이르던 일본 백화점 매장을 모두 닫고 일본 사업을 접었다. 지난해 매출이 457억원으로 줄면서 39억원이라는 영업 손실을 본 게 원인이었다.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미샤재팬’ 역시 지난해 매출이 160억원 선으로 전년도보다 20%가량 줄어드는 등 고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엔저 효과를 등에 업은 일본 브랜드는 국내 공습을 강화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일본 백화점 ‘미쓰코시 이세탄’의 신발 PB(자체 상표) 브랜드인 ‘넘버 21’을 지난달 국내에 들여왔다. 신세계 측은 “일본 신발은 원가가 높아 과거 환율로는 국내 상표에 가격경쟁력 면에서 크게 밀렸지만 최근에는 엔저의 영향으로 국내 브랜드보다 오히려 가격을 낮게 책정해 들여올 수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미쓰코시 이세탄 백화점의 PB 제품 등 일본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8일 업계에 따르면 이랜드는 일본 쇼핑몰 라라포트 요코하마 내 남성복 브랜드 ‘스파오’ 매장을 지난 1일 철수하면서 일본 내 모든 매장 사업을 접었다. 이랜드는 2013년부터 일본에서 스파오 이외에도 여성복 브랜드 ‘미쏘’ 매장 등 5개 점포를 운영했지만 최근 엔화 약세에 매장을 줄여 왔다. 이랜드 관계자는 “엔저를 타고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는 일본 브랜드와의 경쟁에서 역부족임을 느꼈다”면서 “일단 일본은 숨 고르기를 하면서 대만, 홍콩 등 중화권에 힘을 실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화장품 업계도 일본에서 속속 발을 빼는 분위기다. 2006년 일본에 진출한 아모레퍼시픽은 한때 8곳에 이르던 일본 백화점 매장을 모두 닫고 일본 사업을 접었다. 지난해 매출이 457억원으로 줄면서 39억원이라는 영업 손실을 본 게 원인이었다. 중저가 화장품 브랜드 ‘미샤재팬’ 역시 지난해 매출이 160억원 선으로 전년도보다 20%가량 줄어드는 등 고전 중이다.
이런 가운데 엔저 효과를 등에 업은 일본 브랜드는 국내 공습을 강화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일본 백화점 ‘미쓰코시 이세탄’의 신발 PB(자체 상표) 브랜드인 ‘넘버 21’을 지난달 국내에 들여왔다. 신세계 측은 “일본 신발은 원가가 높아 과거 환율로는 국내 상표에 가격경쟁력 면에서 크게 밀렸지만 최근에는 엔저의 영향으로 국내 브랜드보다 오히려 가격을 낮게 책정해 들여올 수 있다”고 밝혔다. 신세계백화점은 미쓰코시 이세탄 백화점의 PB 제품 등 일본 상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5-03-0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