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2년 연속 43만명대 전망 지난해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올해 출생아 수도 줄어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혼인 건수는 27만1천300건, 월 평균 혼인 건수는 2만4천600건을 기록했다. 아직 집계되지 않은 12월 혼인 건수를 합하더라도 역대 최저였던 2003년 30만2천500건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은 이러한 영향으로 지난해 출생아 수가 전년(2013년)에 이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43만명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진은 3일 오후 서울의 한 병원 신생아실 모습.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출생아 수 2년 연속 43만명대 전망
지난해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하며 올해 출생아 수도 줄어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혼인 건수는 27만1천300건, 월 평균 혼인 건수는 2만4천600건을 기록했다. 아직 집계되지 않은 12월 혼인 건수를 합하더라도 역대 최저였던 2003년 30만2천500건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계청은 이러한 영향으로 지난해 출생아 수가 전년(2013년)에 이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43만명대에 그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사진은 3일 오후 서울의 한 병원 신생아실 모습. 연합뉴스
웨딩드레스 살펴보는 관람객들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3회 웨덱스코리아’ 웨딩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웨딩드레스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웨딩드레스 살펴보는 관람객들
9일 오전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43회 웨덱스코리아’ 웨딩박람회에서 관람객들이 웨딩드레스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해 저조한 혼인 건수는 올해 출생아 수로 직결돼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통계청 관계자는 3일 “지난해 상반기 혼인 건수는 평년과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윤달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에는 뚝 떨어졌다”며 “연간으로 봐서는 지난해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혼인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0년 이래 가장 적은 혼인 건수를 기록한 해는 2003년으로, 30만2천500건이었다.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누적 혼인 건수는 27만1천300건이다.
지난해 11개월의 월 평균 혼인 건수가 2만4천600건 수준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이달 말 집계되는 지난해 전체 혼인 건수가 2003년의 기록을 갈아치울 수 있다는 것이 통계청의 설명이다.
문제는 올해의 출생아 수다.
통계청 관계자는 “혼인 건수는 1∼2년 뒤의 출생아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혼인 연령이 많아지고 아이를 적게 낳는 추세가 심화하는 상황에서 지난해 혼인 건수가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 올해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것은 자연스러운 수순”이라고 설명했다.
이달 말에 집계되는 지난해 출생아 수는 전년(2013년)에 이어 사상 처음으로 2년 연속 43만명대에 그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보고 있다.
1960∼1970년대 한 해에 100만명이 넘던 출생아 수는 이후 차츰 떨어지면서 2000년대 들어 40만명대로 주저앉았다. 43만명대를 기록한 것은 2005년(43만5천명)과 2013년(43만6천명) 뿐이다.
올해 출생아 수는 사상 최초로 42만명대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통계청 안팎에서 나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