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순이익 1조 5천억원 넘어…작년 같은 기간 비해 27.4% 증가
교보생명은 지난달부터 15년차 이상 직원들을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있다. 전체 4300여명의 직원 중 최대 15%(650명)가 직장을 떠날 것으로 업계는 추산하고 있다. 2002년 이후 12년 만에 대규모 인력 감원 카드를 꺼내 든 셈이다. 그런데 교보생명은 올 1분기 1451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저금리·저성장 구도가 길어질 것으로 우려되면서 업황이 나빠졌다고 했지만, 오히려 순이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8억원이 늘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도 이런 덕에 194억원의 배당금을 챙겼다. 실적이 좋아졌는데 사람을 자르는 것을 놓고는 뒷말이 끊이지 않는다. 쪼개서 사도 수조원이 들 것으로 추산되는 우리은행 인수에는 교보생명이 여전히 적극적이면서 한편에선 감원을 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올해 2000여명을 감원한 생명보험업계의 1분기 순이익은 9409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7251억원) 대비 29.8% 급등했다. 교보생명과 함께 ‘빅3’인 삼성생명과 한화생명도 앞서 1300여명의 인력이 회사를 떠나거나 다른 계열사에 재배치됐다. ‘선제적 경영 안정’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수익구조 악화로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하다’며 자동차 보험료를 줄줄이 인상했던 손해보험사도 올 1분기 순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3.8% 늘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보험업계의 연간 순이익은 6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올해 위기 경영을 전면에 부각시키며 ‘앓는 소리’를 하던 보험업계의 행보가 이율배반적이라는 비난이 커지는 이유다.
12개사가 잇따라 자동차 보험료를 인상한 손해보험 업계에서도 삼성화재, 현대해상, 동부화재 등 주요 회사의 1분기 순이익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모두 두 자릿수의 증가율을 보였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1분기 배당금 증가와 법인세 환급 등의 1회성 요인들로 순이익이 증가했다”면서 “저금리의 장기화로 보험영업 부문에서 발생한 손실을 투자 영업에서 메워 주는 구조라 보험업계의 경영 여건은 더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분기 ‘깜짝 실적’으로 보험업계의 연간 순이익도 예상치를 웃돌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올해 생명보험 업계와 손해보험 업계는 각각 3조원, 2조 5000억원의 순익을 예상하고 있다. 여기에 자동차 보험료 인상분까지 2분기 실적에 반영되면 경영 지표는 더욱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인력 구조조정과 보험료 인상 카드를 꺼내 들었던 보험업계가 엄살을 부린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보험사들이 저금리로 인한 수익구조 악화나 시장 흐름을 제대로 읽지 못했던 경영상 실책을 모두 종업원이나 소비자에게 전가하고 있다”면서 “단편적인 비용절감 대책보다 저금리·저성장 국면 고착화에 대비한 사업 모델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4-06-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