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의 1만 배… 1만원권 이으면 지구 3682만 바퀴
10,000,000,000,000,000.일, 십, 백, 천, 만…. 세기도 힘든 1경(京)원이다. 단위도 생소하고 감도 잡히지 않는 ‘경’이라는 돈이 요즘 우리 경제에 자주 등장한다. 우리나라 국부는 1경 630조원(2012년 말 기준)이고, 총 금융부채는 1경 302조원(2013년 말 기준)이다. 전 세계 조세 회피처에 숨어든 돈도 11조 달러, 우리 돈으로 1경원이 넘는다고 한다. 이쯤 되니 ‘도대체 1경원이 얼마냐’는 말이 심심찮게 나온다. 인기 드라마 속 여주인공 천송이의 화법을 빌리자면 ‘어마무시한‘ 돈이다.
1경원은 1조원의 1만 배다. 1에 동그라미만 16개가 붙는다. 1만원짜리 만 장을 뭉쳐 1억원을 만들었다면 그 돈뭉치가 1억개가 있어야 한다. 만원짜리는 가로 14.8㎝, 세로 6.8㎝다. 1경원을 만원짜리로 가로로 이어 붙이면 1억 4800만㎞가 된다. 지구 둘레가 4만 192㎞이니 지구를 3682만번 휘감고도 남는다.
15일 종가 기준으로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이 208조원이니 삼성전자 회사를 48개 사고도 남는다. 온 국민(4월 말 기준 5120만명)이 약 2억원씩 나눠가질 수도 있다.
영어 표현은 따로 없다. 굳이 표현하자면 1000조원(쿼드릴리언·quadrillion)과 1조원(트릴리언·trillion)을 활용해 ‘텐(10) 쿼드릴리언’ 혹은 ‘10 thousands trillion’이라고 쓴다. 이 때문에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 얘기가 꾸준히 나온다. 리디노미네이션은 화폐 액면단위를 줄이는 것으로, 쉽게 말해 우리 돈의 동그라미를 몇 개 날리는 것이다. 예컨대 1000원을 1원으로 만드는 식이다.
여기에 가장 적극적인 이가 박승 전 한국은행 총재였다. 하지만 사회적 혼란과 비용이 엄청나다는 반발에 부딪쳐 뜻을 이루지 못했다. 이주열 신임 한은 총재도 지난 3월 인사청문회 때 “(리디노미네이션의) 필요성은 충분히 있지만 부작용이 크다”며 추진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1경원의 다음 단위는 해(垓)다. 동그라미가 20개다. 그다음은 자(10의 24승), 양(10의 28승) 등이 있다. 가장 큰 수는 무량대수(無量大數)다. 동그라미가 68개 붙지만 구체적인 숫자보다는 헤아릴 수 없이 큰 수라는 추상적 의미가 강하다. 우리가 흔히 쓰는 ‘불가사의’(不可思議)도 원래는 숫자 단위다. 10의 64승으로 무량대수 바로 밑이다. 더 나아가면 겁, 업 등도 있다. 숫자가 발달한 중국, 인도에서 주로 유래된 표현들이다. 얼마 전 한 인터넷 사이트에서 ‘현빈 외모+50억원’과 ‘1경원’ 가운데 어느 쪽을 선택하겠느냐는 설문조사도 진행됐다고 하니 1경원이 우리 생활 속으로 많이 들어온 것은 분명해 보인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5-16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