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습기에 방치된 가전제품 관리법

장마철 습기에 방치된 가전제품 관리법

입력 2013-08-09 00:00
수정 2013-08-09 09: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장마가 끝난 다음에도 제습기를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꼼꼼한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제습기는 꿉꿉한 공기를 빨아들여 물로 전환시키기 때문에 물기가 남아있지 않도록 헝겊이나 천으로 제습기 구석구석을 닦아주고 주 2회 이상 물통 청소를 해주는 것이 좋다.

필터를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흐르는 물이나 중성세제를 녹인 물로 세척 후 그늘에 건조시킨다.

◇ 에어컨 필터 청소로 전기료 절약 = 제습기가 없는 가정에서는 제습기 대신에 에어컨을 사용해야 한다. 에어컨을 매일 사용한다면 최소 열흘에 한 번씩은 필터 청소를 해야 한다.

필터에 곰팡이 제거제를 충분히 뿌리고 30분 후에 미지근한 물로 세척하고 그늘에 말려주면 된다. 에어컨 필터를 씻어주는 것만으로도 약 5% 정도의 절전효과를 볼 수 있으니 가족건강도 챙기고 전기료도 절약할 수 있다.

◇ 세탁기 속 곰팡이까지 깨끗하게 = 세탁이 끝난 후 항상 세탁기 뚜껑을 열어 놓아 세탁 후 남은 물기와 습기를 건조시켜야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다.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고 오래 방치할 경우에는 내부 부품에 곰팡이가 생길 수 있어 정해놓은 기간만큼 사용해 본체의 열로 내부습기를 제거하는 것이 좋다.

세탁기의 세탁조는 촉촉한 물기와 섬유찌꺼기 등으로 인해 습기가 차기 쉬워 곰팡이와 세균이 살기좋은 장소이므로 살균소독이 필요하다.

◇ 기타 가전제품도 습기·열기 조절 = 가전제품은 대부분 기기 내부에 습기가 차거나, 작동 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면서 부품에 손상을 주면서 고장이 일어난다.

때문에 TV·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제품을 벽과 기기 사이의 공간에 열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10cm 가량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것이 좋으며 빗물이 들이칠 수 있는 창가에 기기를 배치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좋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