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 4월 분석…너구리·짜파게티 점유율 70.6%

8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봉지라면 5개입 기준으로 매출 상위 3개 라면인 신라면, 짜파게티, 너구리의 판매 순위가 처음으로 역전됐다. 지난 3월에 이들 라면의 점유율은 짜파게티(37.4%), 신라면(32.0%), 너구리(30.6%)의 순이었다. 하지만 4월에는 너구리(37.4%), 짜파게티(33.2%), 신라면(29.4%)의 순으로 바뀌었다. 불과 한 달만에 3개 브랜드 가운데 신라면이 꼴찌로 내려앉은 것.
윤후의 먹방이 소개 되기 직전인 1월에는 신라면(55.1%), 짜파게티(32.4%), 너구리(12.5%), 2월은 신라면(49.2%), 짜파게티(32.4%), 너구리(18.4%) 순으로 신라면의 점유율은 더 높았다.
이경규의 꼬꼬면이 하얀 국물 라면 돌풍을 일으켰떤 2011년 12월에도 신라면은 1윌르 고수했다. 당시 신라면, 꼬꼬면, 기스면 등 3개 품목의 매출 합계를 100%로 봤다면 신라면은 50.3%로 높았지만 꼬꼬면은 32.4%, 기스면은 17.3%에 그쳤다.
홈플러스에서도 짜파구리의 인기가 신라면을 넘어섰다. 3개 라면의 비중은 3월 너구리(37.0%), 짜파게티(33.0%), 신라면(30.0%)에서 4월 짜파게티(38.0%), 신라면(33.0%), 너구리(29.0%)로 역전됐다.
짜파구리의 폭발적인 상승세는 실적으로 연결돼 농심의 1분기 라면 시장 점유율이 무려 70% 가까이 치솟았다. AC닐슨에 따르면 3월 농심의 시장 점유율은 69.9%였다. 1월 시장 점유율은 69.1%였지만 실제로 라면을 구입해 짜파구리를 먹어본 소비자들의 입소문을 타면서 시간이 지날 수록 파괴력이 세지고 있다.
네티즌들은 이에 대해 “10년 동안 꾸준히 먹었던 신라면을 끊고 최근에는 짜파구리만 먹고 있다”, “짜파구리 만드는 게 재미있게 중독성이 있다”, “난 짜파구리 별로 맛 없던데”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