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비용 8만9천원↓·특별활동비 4천400원↑
지난해 누리과정이 시행되면서 5세 아이를 키우는 가정이 매달 8만5천원을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5세 누리과정은 부모의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어린이집과 유치원을 다니는 만 5세 유아에게 국가가 보육료·유아학비를 지원하는 보육·교육 프로그램이다.
11일 육아정책연구소의 ‘5세 누리과정 시행 전·후 기관 이용 및 비용 변화 고찰’에 따르면 누리과정의 시행으로 5세 유아를 키우는 가정의 보육료·교육비 부담이 월평균 8만5천원 줄어들었다.
전국의 만 5세 자녀를 둔 학부모 1천6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누리과정 시행 전과 비교해 기본 비용은 8만9천400원이 감소했고 특별활동 프로그램 이용 비용은 4천400원 상승해 한 가정당 8만5천원을 절감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전체 응답자의 94.9%가 누리과정이 가계 경제에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누리과정 시행 전 보육료·교육비 기본비는 월평균 20만1천200원이었지만 시행 후에는 11만1천800원으로 떨어져 한 가정당 총 8만9천400원을 아낄 수 있었다.
기관별로는 국공립유치원 기본 비용이 누리과정 시행전 14만100원에서 4만3천원으로 낮아져 9만7천100원을 덜 내게 됐으며 사립유치원은 9만4천800원, 민간어린이집은 8만700원, 국공립어린이집은 7만2천400원씩 비용이 감소했다.
다만 미술, 영어 등 특별활동 프로그램 비용이 한달 평균 4만1천원에서 4만5천400원으로 늘어났다.
특히 사립유치원과 민간어린이집 등의 특별활동비 인상으로 누리과정의 취지인 무상보육·교육 제공이라는 취지가 바랬다.
누리과정 시행 후 국공립유치원의 특별활동 비용은 2만3천700원으로 감소했지만 사립유치원은 오히려 비용을 8천700원 더 올려받아 5만9천300원을 청구했다.
이윤진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위원은 “누리과정 내실화를 위해 어린이집·유치원의 특별활동 비용 상승폭과 항목, 금액 등을 정부가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위원은 또 “만 5세 무상 교육·보육은 88.4%가 찬성하지만 3,4세 누리과정 시행에 대해서는 63.5%만 찬성했다”며 “지원 연령을 무조건 확대하기보다는 만 5세 유아의 실질적인 무상 교육·보육을 실현하는 것이 수요자 중심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