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로 지난해 가계 이자부담 사상최고

가계부채 증가로 지난해 가계 이자부담 사상최고

입력 2013-02-24 00:00
수정 2013-02-24 08: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표 있음.>>고소득층은 되레 감소해

지난해 가계부채가 사상 최대로 늘어남에 따라 가계의 이자부담 역시 최고치를 기록했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이자비용은 9만5천387원으로, 전년보다 8.6% 증가했다.

이를 연간으로 환산하면 한 가구가 지난해 평균 114만4천644원을 이자로 낸 셈이다.

통계청의 이자비용은 주택을 사기 위한 대출이나 가계 운영 등을 위해 빌린 돈에 대한 비용을 뜻하기 때문에, 사업 목적을 비롯한 기타 대출까지 포함하면 실제 가계의 이자비용은 이보다 더 클 것으로 보인다.

가구의 전체 소득에서 이자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은 2.34%로, 전국 단위 조사를 시작한 2003년 이래 가장 높았다. 이는 지난해 가구 소득의 증가율(6.1%)이 이자비용 상승률(8.6%)에 못 미쳐서다.

가계의 이자부담은 2003~2007년 1.65% 내외를 유지하다가 2008년 1.92%로 뛰어오른 뒤 2009년 1.95%, 2010년 2.14%, 2011년 2.29%로 계속 커지고 있다.

소득분위별로 이자부담은 달랐다.

소득 상위 20%인 5분위의 소득 대비 이자비용 비중은 2.06%로 전 계층 가운데 가장 낮았다.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이 가장 덜하다는 뜻이다.

게다가 5분위는 이자부담이 전년 대비 줄어든 유일한 계층이기도 하다. 소득이 6.1% 증가한 반면 이자비용은 0.8% 늘어나는 데 그쳤다. 2011년 이자부담은 2.16%였다.

4분위는 2.56%, 3분위는 2.53%로 중상위 소득계층의 이자부담이 높았다. 1분위는 2.38%, 2분위는 2.48%였다.

전년과 비교해 1~4분위 모두 이자부담이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특히 2분위(2.17%→2.48%)와 4분위(2.38%→2.58%)의 이자부담이 크게 늘었다. 이들 계층이 이자비용이 지난해 각각 21.4%, 14.1%나 급증해서다.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이 작년에 줄어든 것은 부동산 경기침체로 고소득층의 대출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소득층은 주로 주택 구매를 위해 대출을 받는다.

중저소득층의 이자부담이 커진 것은 2011년부터 정부가 가계부채 총량을 규제함에 따라, 저신용자들이 은행권에서 대출을 받지 못하고 고금리 대출로 내몰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현대경제연구원 이준협 연구위원은 “고소득층의 대출 이유는 대부분 부동산인데, 지난해에는 부동산시장의 침체로 대출이 크게 늘어날 이유가 없었다”고 말했다.

가계부채 총액은 작년 말 기준으로 959조4천억원으로 역대 최고다. 작년 한해만 47조5천억원이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