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식재단 김홍우 사무총장
“우리 문화를 널리 알리고 고용을 창출하기 위해 한식 세계화가 꼭 필요하다는 건 누구도 부인 못할 것이다.”10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위치한 한식재단에서 만난 김홍우 사무총장은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김홍우 한식재단 사무총장이 10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 사무실에서 한식 세계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최근 세계 각국에서 가수 싸이 등 K팝 연예인들이 인기를 끌면서 한식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졌다. 한식의 위상이 예전 같지 않다.”고 평가했다.
한식재단이 뉴욕 현지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식에 대한 선호도가 2009년 9%에서 지난해 41%로 높아졌다. 지난해에는 ‘미식가들의 성서’라고 불리는 미슐랭가이드북에 모란봉·마쓰노미·센노하나 등 일본에 있는 한식당 3곳이 추천되기도 했다.
그는 이렇게 한식이 과거보다 대중화된 데 대해 “한식재단이 해외 우수 한식당 추천 사업을 하고 해외 유명 방송이나 온라인을 통해 한식을 알려온 것이 큰 도움이 됐다고 본다.”면서도 “그래도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영부인 사업이다 뭐다 (한식재단에) 반대세력이 많다는 건 알지만, 황금 들녘이 하루아침에 이뤄질 수 있느냐.”면서 “봄에 씨 뿌리듯 기초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부터 해야 나중에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김 총장은 세계화의 기초 작업으로 지방자치단체·민간단체와 함께 전국에 5년간 1000개의 한식마을을 조성할 계획이다. 이어 전 세계 1만 500개 정도로 추산되는 해외 진출 기업이 현지에서 근무할 한식 요리사를 5년간 1만 3000명을 신규 고용하고, 해외 한식당 창업으로 5년간 5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도 마련했다.
그는 “한식이 널리 알려지면 자연스럽게 한식 관련 식자재, 조리기구 등의 수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화법’ 제정·한식센터 건립 서둘러야
이를 위해 시급한 과제로 한식랜드마크 건립과 한식세계화촉진법 제정을 꼽았다. 한식이 체계적으로 발전하려면 한식체험부터 전시·연구개발·판매까지 한꺼번에 이뤄지는 한식센터 설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용역 결과 수도권에 센터가 세워질 경우 연간 42만명의 관광객이 찾아오고 1072명의 신규 고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김 총장은 “한식세계화촉진법을 통해 일관성 있고 힘 있는 한식 세계화 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김양진기자 ky0295@seoul.co.kr
2012-12-1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