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경영상태에서 경제성장률이 1%로 떨어지고 기준금리가 1% 포인트 떨어지면 국내 은행들의 순익은 5년 뒤 거의 10분의1토막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일본식 장기침체가 지속되는 ‘저금리·저성장 시나리오’를 가정해 국내 18개 은행의 향후 순익을 추산한 분석결과다.
금감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는 9일 이런 가정을 적용한 결과, 은행의 순익은 올해 8조 5000억원에서 2017년 1조 4000억원으로 83.5%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0년 후에는 아예 적자로 돌아서 5조 2000억원의 순손실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올해 14.02%에서 2017년 13.59%, 2022년 11.62%로 낮아졌다. 금감원은 우리 경제가 인구증가율 감소, 고령화 진전, 신(新)성장동력 부재 등 구조적 요인과 글로벌 경기둔화가 겹치면서 저성장·저금리 시대로 급격히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1~9월 은행의 순익은 전년보다 34.7% 떨어진 7조 7000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수준으로 악화됐다. 금감원은 금융사들이 수익성을 만회하기 위해 내년에 고(高)위험자산 투자를 늘리고 불건전 영업행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사전 관리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금감원 금융감독자문위원회는 9일 이런 가정을 적용한 결과, 은행의 순익은 올해 8조 5000억원에서 2017년 1조 4000억원으로 83.5%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10년 후에는 아예 적자로 돌아서 5조 2000억원의 순손실을 낼 것으로 추산됐다.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올해 14.02%에서 2017년 13.59%, 2022년 11.62%로 낮아졌다. 금감원은 우리 경제가 인구증가율 감소, 고령화 진전, 신(新)성장동력 부재 등 구조적 요인과 글로벌 경기둔화가 겹치면서 저성장·저금리 시대로 급격히 진입할 것으로 내다봤다. 올해 1~9월 은행의 순익은 전년보다 34.7% 떨어진 7조 7000억원으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수준으로 악화됐다. 금감원은 금융사들이 수익성을 만회하기 위해 내년에 고(高)위험자산 투자를 늘리고 불건전 영업행위를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사전 관리감독을 강화하기로 했다.
백민경기자 white@seoul.co.kr
2012-12-10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