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권추심업의 영업수익 정체와 추심환경 악화로 불법 빚 독촉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금융당국이 우려했다.
금융감독원은 8일 지난해 신용정보회사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채권추심업의 영업수익은 3년간 정체상태를 기록했지만 신용조회업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현재 영업 중인 신용정보회사는 32개사로 채권추심회사 24곳의 영업수익은 3년간 정체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채권추심업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6892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0.1% 줄었다.
이에 비해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신용조회업도 덩달아 활황세다. 금융회사의 신용조회 건수가 늘면서 전년 대비 26.2% 영업수익이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측은 “오후 9시 이후부터 다음 날 오전 8시까지는 채권추심인의 빚 독촉 방문이나 전화가 법률상 금지된다.”며 “지속적인 현장 검사 및 민원 파악으로 불법 행위는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금융감독원은 8일 지난해 신용정보회사의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채권추심업의 영업수익은 3년간 정체상태를 기록했지만 신용조회업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현재 영업 중인 신용정보회사는 32개사로 채권추심회사 24곳의 영업수익은 3년간 정체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채권추심업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6892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0.1% 줄었다.
이에 비해 가계대출이 급증하면서 신용조회업도 덩달아 활황세다. 금융회사의 신용조회 건수가 늘면서 전년 대비 26.2% 영업수익이 증가하는 등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다.
금융감독원 측은 “오후 9시 이후부터 다음 날 오전 8시까지는 채권추심인의 빚 독촉 방문이나 전화가 법률상 금지된다.”며 “지속적인 현장 검사 및 민원 파악으로 불법 행위는 제재하겠다.”고 밝혔다.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2-04-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