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금리 대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금리 경쟁력을 갖춘 고정금리 대출상품 수요가 존재한다는 게 입증됐지만, 은행이 낮은 이율의 고정금리 상품을 계속 발굴하지 못하면 반짝 인기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한국은행은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상반기 10~11%대에 머물다가 7월에 14.3%로 급증했다고 1일 집계했다. 시중은행들은 8월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7~8월 두 달 동안 시중은행별로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4분의1 이상이 고정금리 대출이었기 때문이다.
6월 가계부채 종합대책 발표 뒤 신한, 국민, 우리, 외환은행은 5%대 안팎의 낮은 이율로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내놓았다. 하나은행도 9월부터 최저 연 4.93% 고정금리 대출상품을 판매한다.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은행권 고정금리 대출이 변동금리 대출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은 금리를 요구했지만, 지금은 고정금리 대출 금리가 더 싼 역전 현상도 벌어지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가 예상돼 창구에서 고정금리를 적극 추천하지는 않지만, 당장 금리가 높지 않기 때문에 고객들이 고정금리 대출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편”이라고 설명했다.
당장 금리가 내려 고정금리 대출이 증가했지만,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은행들이 장기조달 비용을 감수하며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데 ‘피로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16년까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30%로 늘리라는 당국의 권고에 따라 금리수준을 낮춘 상품을 개발했지만, 은행 입장에서 남는 게 별로 없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관계자는 “최근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장기채권 금리가 내려가 한때 연 4.5%대 고정금리 상품도 가능했다.”면서 “시장이 안정되고 은행의 수익을 고려한다면 결국 변동금리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 고정금리 상품만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한국은행은 신규 가계대출 가운데 고정금리 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상반기 10~11%대에 머물다가 7월에 14.3%로 급증했다고 1일 집계했다. 시중은행들은 8월에도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7~8월 두 달 동안 시중은행별로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4분의1 이상이 고정금리 대출이었기 때문이다.
6월 가계부채 종합대책 발표 뒤 신한, 국민, 우리, 외환은행은 5%대 안팎의 낮은 이율로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내놓았다. 하나은행도 9월부터 최저 연 4.93% 고정금리 대출상품을 판매한다. 올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은행권 고정금리 대출이 변동금리 대출보다 1.0% 포인트 이상 높은 금리를 요구했지만, 지금은 고정금리 대출 금리가 더 싼 역전 현상도 벌어지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가 예상돼 창구에서 고정금리를 적극 추천하지는 않지만, 당장 금리가 높지 않기 때문에 고객들이 고정금리 대출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편”이라고 설명했다.
당장 금리가 내려 고정금리 대출이 증가했지만, 추세가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은행들이 장기조달 비용을 감수하며 고정금리 대출 상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데 ‘피로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2016년까지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30%로 늘리라는 당국의 권고에 따라 금리수준을 낮춘 상품을 개발했지만, 은행 입장에서 남는 게 별로 없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관계자는 “최근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장기채권 금리가 내려가 한때 연 4.5%대 고정금리 상품도 가능했다.”면서 “시장이 안정되고 은행의 수익을 고려한다면 결국 변동금리에 비해 경쟁력이 없는 고정금리 상품만 남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9-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