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우 신한금융회장 내정자 선임배경·과제
14일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 내정자가 선임됨으로써 5개월 동안 지속된 신한사태는 일단락되는 전기를 마련했다. 특히 한 내정자는 정통 ‘신한맨’으로 찢겨진 조직을 추스르고, 화합을 이끌어내는 데 적합할 것이라는 평가가 신한 안팎에서 나온다. 회장 선임 특위위원들이 외부 인물보다 내부 출신을 선호한 배경으로 꼽힌다. 한 내정자의 첫번째 과제가 조직 추스르기다. 신한금융이 내분을 겪는 동안 경쟁사인 하나금융은 외환은행 인수 작업을 진행했고, 신한금융은 자칫 4위로 밀릴 가능성도 거론된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14일 신한금융 회장으로 내정된 한동우 전 신한생명 부회장이 서울 태평로 신한금융 본사 20층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류재림기자 jawoolim@seoul.co.kr
‘한동우 체제’의 향후 과제와 걸림돌은 만만치 않아 보인다. 이번 차기 회장 인선 과정에서도 라응찬 전 회장을 비롯한 ‘신한 3인방’의 입김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윤계섭 특위위원장도 심사를 마친뒤 이를 의식한 듯 “(추대 형식은) 단결된 신한의 미래를 위해서 필요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한 내정자도 내부 결속을 당면한 과제로 강조했다. 그는 특위가 실시한 면접에 참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구도를) 너무 이분법적으로 보는 게 아니냐.”고 일갈했다. 내정 직후 기자회견에서는 “신한금융 그룹에 28년 동안 봉직한 신한맨”이라고 말문을 열며 “그동안 힘든 과정 속에서 조직의 분열된 상처가 제 자리를 찾아가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28년 신한맨’으로 신한금융그룹의 성장에 일조한 한 내정자이지만, 신한의 내부 상황이 꼬일 대로 꼬여 단기간에 수습하기가 쉽지 않다는 관측도 없지 않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과거 ‘회장님’이나 ‘사장님’이라고 경칭하던 분들을 ‘라응찬’이나 ‘신상훈’이라고 부르게 된 현 상황에 직원들이 자조하고 있다.”면서 “신한의 결속력을 키워 준 라 전 회장과 신 전 사장이 이전투구를 벌이는 과정에서 생겨난 직원들 사이의 계파 문제가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 내정자의 선임 과정도 쉽지 않았다. 한동우 후보는 라응찬 전 회장이, 한택수 후보는 재일교포 주주들이 지지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특위는 될 수 있으면 합의를 통해 단독 후보를 추대할 예정이었지만, 합의 추대가 어려워지면서 여러 차례 표결을 거쳐 과반수를 얻은 한 내정자를 단독 후보로 추대했다. 한 내정자는 최종적으로 특위위원 9명 가운데 5명의 표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특위 에서) 5대4, 또는 한 명이 기권해 5대3으로 결론이 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소수였던 재일교포 주주측 이사들의 의견이 무시되면서, 주주 대표성이 훼손됐다는 문제가 제기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 내정자는 “신한은 새출발하는 자세로 새로워져야 한다.”면서 “제가 떠난 1년 8개월 동안 변화가 있었는데, 훌륭한 인재들로부터 지혜를 빌리며 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2-15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