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내 매출액 기준 1위 은행인 미쓰비시도쿄UFJ은행(미쓰비시UFJ)이 일본 국채 입찰에 특별 참가 자격을 일본 정부에 반납할 예정이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8일 보도했다.
일본 국채의 안정적 구매자였던 대형은행이 국채 매입 틀에서 이탈하려 하려는 것으로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하에서 국채를 계속 보유하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미쓰비시UFJ가 국채시장 특별 참가 자격 반납이 이뤄지면 다른 여타 대형은행도 그 뒤를 따라 자격을 반납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재무성도 미쓰비시UFJ의 자격 반납을 수용할 전망이다. 이 경우 일본 국채시장의 기능저하가 우려된다. 자격을 반납해도 국채 매입, 매각은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마이너스 금리상황에서 국채를 가능한 적게 갖고 있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국채를 안정적으로 소화해 온 국가와 은행사이에 틀에 구멍이 생긴 것으로 마이나스 금리의 부정적인 영향이라고 풀이했다. 닛케이는 “국채의 안정적 소화를 지탱해온 메가뱅크의 ‘국채 이탈’은 시장에서 대량의 국채를 사 들여 시중 자금 공급량을 늘려온 일본은행의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에 그림자를 드리운 일”로 평가했다.
또 국채를 소화하는데 중앙은행이 일본 은행의 부담이 더 늘게 됐다. 지난해를 기점으로 일본 은행의 국채 보유량이 시중 은행 전체의 보유량을 앞서게 됐다. 일본의 시중 은행들의 국채 보유량은 계속 줄고, 반면 일본 은행의 보유량은 계속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이다.
대형은행과 증권사 등 총 22개사가 가진 국채시장 특별 참가 자격은 ‘프라이머리 딜러’라고 불리며 국채 발행 당국과 의견 교환 자리에 참석할 수 있는 등의 혜택은 갖지만 발행 예정 국채의 4% 이상에 대해 응찰해야 하는 의무를 진다. 미쓰비시UFJ는 이를 부담스러워 했던 것으로 보인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일본 국채의 안정적 구매자였던 대형은행이 국채 매입 틀에서 이탈하려 하려는 것으로 일본은행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의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난 것으로 풀이된다. 마이너스 금리 정책 하에서 국채를 계속 보유하면 손실이 발생할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미쓰비시UFJ가 국채시장 특별 참가 자격 반납이 이뤄지면 다른 여타 대형은행도 그 뒤를 따라 자격을 반납할 가능성이 있다. 일본 재무성도 미쓰비시UFJ의 자격 반납을 수용할 전망이다. 이 경우 일본 국채시장의 기능저하가 우려된다. 자격을 반납해도 국채 매입, 매각은 자유롭게 할 수 있지만 마이너스 금리상황에서 국채를 가능한 적게 갖고 있겠다는 의지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국채를 안정적으로 소화해 온 국가와 은행사이에 틀에 구멍이 생긴 것으로 마이나스 금리의 부정적인 영향이라고 풀이했다. 닛케이는 “국채의 안정적 소화를 지탱해온 메가뱅크의 ‘국채 이탈’은 시장에서 대량의 국채를 사 들여 시중 자금 공급량을 늘려온 일본은행의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에 그림자를 드리운 일”로 평가했다.
또 국채를 소화하는데 중앙은행이 일본 은행의 부담이 더 늘게 됐다. 지난해를 기점으로 일본 은행의 국채 보유량이 시중 은행 전체의 보유량을 앞서게 됐다. 일본의 시중 은행들의 국채 보유량은 계속 줄고, 반면 일본 은행의 보유량은 계속 늘어나면서 생긴 현상이다.
대형은행과 증권사 등 총 22개사가 가진 국채시장 특별 참가 자격은 ‘프라이머리 딜러’라고 불리며 국채 발행 당국과 의견 교환 자리에 참석할 수 있는 등의 혜택은 갖지만 발행 예정 국채의 4% 이상에 대해 응찰해야 하는 의무를 진다. 미쓰비시UFJ는 이를 부담스러워 했던 것으로 보인다.
도쿄 이석우 특파원 jun88@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